본문 바로가기

윤리적 소비의 동반자/협동조합

주민을 춤추게 하는 협동조합

주민을 춤추게 하는 협동조합

[99%의 경제]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에는 ‘건강한 밥상’이라는 이름의 영농조합법인이 있다. 조합원 100명이 1200만원의 자본금을 마련해 2010년 10월부터 도시 소비자에게 10여개 제철 농산물을 배달하는 ‘건강밥상 꾸러미’란 사업을 운영한다. 꾸러미에 들어가는 품목은 조합원(지역의 고령농과 소농)이 생산하는 유기농산물이다. 이 영농조합법인의 건강밥상 꾸러미는 매주 3500가구에 8000개씩 배달되고 있다. 연 30억원 매출을 올리는데, 최소한의 유통비용을 제외한 수입이 법인에 참여한 농민에게 돌아간다.

고령농과 소농의 안정적인 소득 창출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완주군의 로컬푸드 활성화와 마을기업 육성사업이 성공 궤도에 오르면서 농민들의 얼굴에 웃음꽃이 피고 있다. 올해 2월 주민 40명이 5000만원을 출자해 설립한 용진면 도계마을의 영농조합법인 또한 싱싱하고 저렴한 농민매장이란 평가를 받는 용진농협 로컬푸드 직매장 등에 납품해 1인당 월 150만원의 소득을 올린다.

건강힐링마을로 사랑받고 있는 구이면 안덕파워빌리지도 마찬가지다. 땀 흘려 가꾼 농산물을 제값 받고 팔며, 동시에 작지만 서로가 힘을 합치는 공동체 모델을 정립해가는 성공사례들이다. 정부가 외쳐대는 기업농이 아니라 소규모 가족농이 예전에는 결코 꿈꿀 수 없었던 기적이 일어나고 있는 셈이다.

파급효과는 농촌에 그치지 않는다. 5명의 다문화가정 주부들이 운영하는 ‘마더쿠키’는 사랑과 영양이 듬뿍 묻어나는 빵을, 중증 장애인들이 주축인 ‘완주 떡메마을’은 고실고실한 전통 떡을 만들어낸다. 최근에는 지역 내 태양광 발전시설을 운영할 공동체 회사의 탄생도 목전에 두고 있다.

사회적 양극화의 그늘이 깊고 시장 개방 이후 농업이 황폐화될 것이란 우려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경제안정과 사회통합의 요구가 커지고, 그를 담당할 협동조합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상위 1%가 아닌, 99%가 잘사는 경제를 구현하는 협동조합 활성화는 그리 어렵지 않다. 농민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층이 당장 할 수 있는 일, 그리고 가장 잘하는 일을 하도록 토대를 만들어주고 약간의 도움을 주면 된다. 그러면 모두가 웃고 행복해지는 사회와 국가를 만들 수 있다.

로컬푸드, 마을회사, 커뮤니티비즈니스, 두레농장, 귀농귀촌, 재래시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형 주민 공동체사업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협동조합으로 확대해 나가는 도전에 완주군이 나서고 있다. 주민 모두를 웃게 하는 일이다.

임정엽 전라북도 완주군수